맨위로가기

야코프 푸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프 푸거는 1459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태어난 신성 로마 제국의 상인이자 은행가이다. 그는 유럽 각지에서 상업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구리 채굴 및 무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푸거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재정 고문으로 활동하며 막시밀리안 1세 황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카를 5세의 황제 선출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교황청과의 자금 거래를 통해 로마 교회의 재정을 지원했으며, 종교 개혁 시기에는 반종교 개혁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그는 푸게라이를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안나 교회 푸거 예배당, 푸거하우저 등 건축물을 통해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로마 가톨릭교도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금속 활자를 이용한 인쇄술을 발명하여 서적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양 문명과 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교도 - 존 다울런드
    존 다울런드는 류트 연주와 작곡에 능했으며, 멜랑콜리한 정서 표현으로 "눈물의 존 다울런드"라는 별칭을 얻었고, 류트 독주곡, 류트 송, 류트 반주가 있는 부분 노래, 류트가 있는 비올 합주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긴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 시대의 음악가이다.
  • 독일의 상인 - 오토 프랑크
    오토 프랑크는 독일 태생의 유대인 사업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로, 딸 안네 프랑크의 일기를 출판하여 홀로코스트의 참상을 알리고 평화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독일의 상인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금속 활자를 이용한 인쇄술을 발명하여 서적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양 문명과 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야코프 푸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야코프 푸거 폰 데어 릴리에
출생1459년 3월 6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아우크스부르크제국 자유 도시
사망1525년 12월 30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아우크스부르크제국 자유 도시
안장지성 안나 교회
배우자1498년, 시빌라 아르츠트와 결혼
부모야코프 푸거 장로(아버지), 바르바라 베징거(어머니)
친척안톤 푸거(조카)
가문푸거 가문
알브레히트 뒤러가 그린 야코프 푸거의 초상화, 1518년 (Staatsgalerie Altdeutsche Meister), [[아우크스부르크]]
알브레히트 뒤러가 그린 야코프 푸거의 초상화, 1518년
직업
직업독일 상인, 광산 사업가, 은행가
기타 정보
순자산3,000,058 글덴 (약 40조 원, 추정치에 따라 다름)

2. 생애



1459년3월 6일,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 도시였던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백합 가문(야코프 가문, 그의 형제 안드레아스의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동명이인 야코프, 어머니는 바르바라 푸거였다.

성장 후, 막내였던 야코프는 후계자가 될 가능성이 없었기 때문에 유럽 각지를 돌아다녔다. 또한, 15세기 말에는 상업 도시로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던(당시는 브라반트 공국의 지배하) 안트베르펜으로 이주했다고 여겨진다.

아버지의 사후, 장남과 차남이 사업을 계승했지만, 아직 생존해 있던 사람들의 계승, 즉 계약 형태가 나중에 징수되었다. 헝가리 북부(현재의 슬로바키아, 반스카 비스트리차에 위치)의 정련된 구리의 채굴권을 폴란드울라슬로 2세에게 주었다.

더욱이, 이탈리아 반도와 포르투갈의 자금 지원을 통해, 당시 번성하던 교역에 착수하게 되었으며, 같은 시기에 푸거 가문은 로마 교회의 자금 운반 및 송금도 담당했기 때문에, 로마령의 추기경 멜키오르의 교회 내에서, 더욱이 로마 교황의 그 세력은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을 능가하게 되었다.

또한, 바이에른지방의 도시가 되었으며, Babenbergde의 영유가 인정되었다.

야코프 푸거는 후에 종교 개혁으로 이어지는 면죄부(면죄부)와도 관계가 있다. 브란덴부르크 영주이자 겸직하는 알브레히트 폰 브란덴부르크[56](귀족 출신)는, 그 직위를 얻기 위해, 당시 교황 레오 10세에게 고액의 자금을 헌납했는데, 그 자금을 빌려준 것이 야코프 푸거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로마 교회와의 파이프도 굵어, 알브레히트가 자금을 변제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자, 레오 10세에게 면죄부의 판매를 촉구했고, 그로 인해 얻은 이익을 분할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당시 신성 로마 황가였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1세 및 그 이후 시대의 재정 고문 역할을 했다. 이러한 결과, 카를은 대립 후보(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에게 승리하여,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될 수 있었다.

이후, 1524년에 독일 남부 및 중부에서 발생한 독일 농민 전쟁에서 구리에 대한 투자를 중단했다.

2. 1. 배경, 교육 및 베네치아에서의 초기 시절

야코프 푸거는 1459년 3월 6일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 도시였던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야코프 푸거 1세(1398–1469)와 그의 아내 바르바라 베징어(1419–1497) 사이에서 열한 자녀 중 열 번째로 태어났다.[6] 그의 할아버지 한스 푸거는 1367년 아우크스부르크에 정착하여 결혼을 통해 시민이 되었고 이탈리아와의 섬유 거래를 통해 상당한 재산을 축적했다. 아버지 야코프 푸거 1세는 사망하기 몇 년 전 이미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가장 부유한 시민 중 한 명이었다.[6]

1473년에 부여된 백합 가문의 푸거 가문의 문장


야코프의 형들인 울리히(1441–1510)와 게오르크(1453–1506)는 유럽에서 회사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1470년경 그들은 무역의 중요한 중심지였던 베네치아와 뉘른베르크에 공장을 설립했다.[7] 야코프 푸거의 형제 안드레아스와 한스는 둘 다 베네치아에서 젊은 나이에 사망했고, 마르쿠스는 성직자였으며 1478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그의 형제 페터는 1473년 뉘른베르크에서 발생한 전염병으로 사망했다.[7][8]

울리히 푸거가 황제 프리드리히 3세에게 대출을 해주고 그의 측근에게 물품을 제공한 것이 1473년 가문에게 백합 문장이 수여된 이유였다.[9]

2009년까지 역사가들은 12세에 하위 서품을 받은 야코프 푸거가 교회 참사원으로 헤리덴에 있는 교회에서 살았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국립 문서 보관소의 문서를 통해 야코프 푸거가 14세이던 1473년에 이미 베네치아에서 가문의 사업을 대표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10] 다른 연구를 통해 야코프 푸거가 1473년부터 1487년 사이에 대부분 베네치아의 독일 상인들의 저택인 폰다코 데이 테데스키에서 보냈다는 것이 밝혀졌다.[11] 당시 가장 중요한 무역 중심지 중 하나였던 베네치아는 야코프 푸거가 은행 및 금속 거래에 대한 교육을 받기에 이상적인 환경이었으며,[11]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르네상스 양식을 독일 지역에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베네치아의 법적 및 건축적 구조 또한 푸게라이의 자금 지원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2. 광업 및 금속 무역의 시작

야코프 푸거는 잘츠부르크에서 광산 사업의 기반을 닦았다. 그는 잘츠부르크 슬레이트 알프스의 독립적인 은광 소유주들에게 대출을 제공하고, 채무 증서 대신 "쿠세"를 받아 광산의 주주가 되었다. 이를 통해 가스타인과 슐라드밍 지역의 광산 운영자들이 푸거 가문에 직접 은을 판매하도록 유도했다.[12]

1485년경, 푸거 가문은 인스브루크에 제조업체를 설립했다(이후 할, 슈바츠로 확장).[13] 그는 지기스문트 대공에게 소규모 대출을 제공하며 합스부르크 가문과 처음 접촉했다. 지기스문트는 티롤 재산의 유일한 소유자로서 광산 운영 허가를 개인 투자자에게 부여하고 이익의 일부를 받았으나, 사치스러운 생활 등으로 인해 자금이 부족했다. 야코프 푸거는 베네치아에 대한 전쟁 배상금을 포함하여 지기스문트의 부채를 해결해주었다.[13] 1488년에는 총 부채가 150,000 길더가 넘었다. 푸거 가문은 귀족에게 직접 지불하는 대신 그의 채권자들에게 돈을 지불하고 왕실과 장인들의 임금을 제공했다.

푸거는 얀 투르조라는 기술자를 만나 1495년 반스카 비스트리차에 구리 회사를 설립했다.[13] 1517년에 푸거 가문은 티롤 공공 예산의 절반 이상을 지원했으며, 티롤에서 생산되는 은과 구리를 받을 자격을 얻기도 했다.[14]

반스카 슈티아브니차 광산의 은광석(아르겐타이트)

2. 3. 막시밀리안 1세와의 관계

야코프 푸거는 막시밀리안 1세와의 고위험 고수익 사업 관계를 통해 많은 이익을 얻었다.[15] 1489년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에서 막시밀리안 1세를 처음 만난 푸거는, 1490년 티롤의 신분 의회에서 막시밀리안이 지기스문트 대공의 재산을 넘겨받을 때 대출금을 상환할 것을 약속받으며 그의 재정적 후원자가 되었다.[15]

알브레히트 뒤러(1519)의 ''황제 막시밀리안 1세''


막시밀리안 1세는 1493년 아버지 프리드리히 3세가 사망한 후 황제가 되었고, 호화로운 생활 방식과 잦은 정치적 실패에도 불구하고, 스페인, 보헤미아, 헝가리 왕국을 합스부르크 왕가에 편입시키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야코프 푸거의 재정 지원 덕분이었다.[16]

1507년 막시밀리안 1세는 키르히베르크 백국, 바이센호른 영지, 불렌슈테텐, 파펜호펜 (로트) 영지를 야코프 푸거에게 매각하고 50,000 길더를 받았다.[17] 1508년에는 슈미헨 영지, 1514년에는 비버바흐 영지를 추가로 매각했다.[18][19] 막시밀리안 1세는 1511년 야코프 푸거를 귀족으로, 1514년에는 제국 백작으로 승격시켜 사업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했다.[18][19]

마르틴 루터는 푸거의 사업 방식을 비판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푸거가 막시밀리안 1세에게 행사한 권력은 제한적이었다.[20] 막시밀리안 1세는 푸거에게 막대한 빚을 졌고, 푸거는 채권 회수를 위해 그를 계속 지원해야 했다. 막시밀리안의 손자 카를 5세가 황제 선거에 출마했을 때, 푸거는 50만 길더 이상을 모금하여 선제후들을 매수함으로써 프랑수아 1세를 꺾고 카를 5세를 황제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1] 그러나 이는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푸거 가문의 의존도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후 푸거 가문은 펠리페 2세 통치하에 세 차례의 스페인 국가 파산(1557년, 1560년, 1575년)으로 인해 막대한 재산을 잃었다.[21][22]

2. 4. 광업 및 금속 무역 (심화)

야코프 푸거는 광업 및 광석 무역의 성장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24] 그는 합스부르크가와 헝가리 왕에게 제공한 대출을 담보로 티롤의 광산 수입과 상부 헝가리의 채광권을 확보했다.[25] 이를 통해 푸거는 중앙 유럽에서 구리 무역에 대한 지배적이고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25]

푸거는 사업 파트너인 한스 투르조와 함께 1494년에 헝가리 무역을 설립했다.[25] 이 회사는 1494년에 유럽 최초의 공개 무역 회사 중 하나가 되었으며()[23], 사업 문제에 관련된 세 형제의 평등성을 보여주기 위해 "아우크스부르크의 울리히 푸거와 형제들"로 개명되었다.[23] 하지만, 티롤 출처에서는 야코프 푸거 회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헝가리 무역의 주요 계약은 모두 그가 서명하여 그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24]

푸거가 자금을 지원한 광산은 당시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노이졸 (현재의 반스카 비스트리차, 슬로바키아)에 건설되었다.[26] 푸거 가문은 노이졸과 인근 모슈니츠, 케른텐의 아르놀트슈타인, 튀링겐의 호엔키르헨에 제련 공장을 건설하여 사업을 확장했다.[26]

10 두캇(1621), 푸거 가문에 의해 통용 화폐로 주조됨


생산된 구리는 브레슬라우, 라이프치히, 크라쿠프 및 오펜의 제조 공장을 거쳐 유통되었다.[27] 발트해의 그단스크, 슈체친 및 뤼베크 항구로 운송하기 위해 푸거는 야블룬코프 고개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도로 건설에 자금을 지원했다.[27] 그 항구에서 구리는 러시아 지역, 안트베르펜을 거쳐 리스본으로 운송되었고, 인도 수출을 위한 중요한 포르투갈 무역 상품이 되었다.[27][28] 일부 구리는 비너 노이슈타트와 아드리아해 항구 트리에스트 및 젠을 통해 베네치아의 구리 시장으로 운송되었다.[29] 당시 티롤과 헝가리의 광산은 유럽 구리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푸거 가문에게 유럽 시장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를 제공했다.[29]

15세기 말 상업 도시로서 중요성이 더해지던 안트베르펜으로 이주한 푸거는 헝가리 북부(현재의 슬로바키아, 반스카 비스트리차에 위치)의 정련된 구리의 채굴권을 폴란드울라슬로 2세에게 부여받았다.

2. 5. 바티칸과의 관계

푸거 가문은 로마 교황청과 직접적인 사업 관계를 맺은 최초의 독일 상인 가문이었다.[30] 1500년에 야코프 푸거는 성 베드로 대성전, 시스티나 성당 등 바티칸 내 건물 건축 자금을 대출했다.[30] 야코프에게 빚진 막대한 금액을 갚기 위해 교황 레오 10세는 독일 국민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고 면죄부를 판매해야 했다.[31] 이는 마르틴 루터를 포함한 많은 수의 수도사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으며, 교회 내의 부패가 부분적으로 작용하여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작성하게 되었다.[31]

교황 알렉산데르 6세 사후, 야코프 푸거는 바티칸과의 접촉을 강화했다. 푸거는 교황 율리우스 2세를 위해 스위스 근위대를 1505/1506년에 모집하는 데 자금을 지원했다.[32]

2009년 스위스 근위병


1508년에서 1524년 사이에 푸거 가문은 로마 조폐국인 체카를 임대하여 4명의 다른 교황을 위해 66종류의 동전을 제조했다.[32] 이후 푸거 가문은 1527년 로마 약탈과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 클레멘스 7세로 인해 로마에 단 하나의 공장만을 두게 되었다.[32]

야코프 푸거는 면죄부와도 관계가 있다. 알브레히트 폰 브란덴부르크[56]는 그 직위를 얻기 위해 교황 레오 10세에게 고액의 자금을 헌납했는데, 그 자금을 빌려준 것이 야코프 푸거였다. 로마 교회와의 관계가 깊었던 푸거는 알브레히트가 자금을 변제하지 못하자, 레오 10세에게 면죄부 판매를 촉구했고, 그로 인해 얻은 이익을 분할했다고 전해진다.

2. 6. 해외 무역

야코프 푸거의 가문에서 상품 무역은 은행업과 광업에 비해 작은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초기 무역 원정은 이국적인 투자로 인해 푸거 가문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위치를 차지한다.[33]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 항로를 발견하고 포르투갈의 향신료 독점 체제가 구축된 후, 야코프 푸거는 향신료 무역에 참여하여 1503년 리스본에 공장을 열었다.[33] 그는 리스본을 통해 후추, 기타 향신료, 진주와 보석과 같은 사치품을 거래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1505년 프란시스쿠 데 알메이다가 이끄는 포르투갈 선단에 독일과 이탈리아의 다른 상인 가문들과 함께 투자하여 인도로 항해했고, 1506년에 돌아왔다.[33] 수입품의 3분의 1을 포르투갈 국왕에게 양도해야 했지만, 이 작전은 여전히 수익성이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국왕은 자신의 수입을 확보하고 외국 상인들의 참여를 배제하기 위해 향신료 무역을 왕실의 독점으로 선언했다.[33] 그러나 포르투갈은 여전히 푸거가 제공하는 구리에 크게 의존했는데, 이는 인도와의 무역에 필수적인 수출품이었다.

벨저 가문과 달리, 야코프 푸거의 해외 무역 참여는 매우 신중하고 보수적이었으며, 그가 투자한 또 다른 유형의 사업은 가르시아 호프레 데 로아이사가 이끄는 1525년 말루쿠 제도로의 실패한 무역 원정이었다.[34] 그가 마젤란의 항해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증거도 있다.[35]

2. 7. 야코프 푸거의 위기

멜키오르 폰 메카우 추기경은 1496년 푸거 사업의 주요 후원자가 되었다. 프린스-주교는 교회 교회 참사회에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푸거 가문에 15만 길더를 이자로 투자했으며, 이는 공식적인 교회 이자 금지령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36] 1509년 로마에서 그가 사망했을 때 이 투자가 드러났다. 교황, 브릭센 주교구, 메카우 가문 모두 상속을 주장하며 즉각적인 자산 회수를 요구했고, 이는 야코프 푸거의 지급 불능으로 이어질 뻔했다.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개입하여 그의 은행가를 돕도록 했다. 교황 율리우스 2세를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에 맞서 지원하는 조건으로, 합스부르크 군주는 멜키오르 폰 메카우 추기경의 정당한 상속자로 인정받았다. 이제 상속은 미결제 부채를 상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다. 푸거는 또한 교황에게 보상으로 보석을 전달해야 했다. 그러나 막시밀리안 1세는 그의 지원에 대한 대가로 진행 중인 군사 및 정치 캠페인에 대한 지속적인 재정 지원을 요구했다.[37]

이후, 1524년에 독일 남부 및 중부에서 발생한 독일 농민 전쟁에서 구리에 대한 투자를 중단했다.

2. 8. 1519년 카를 5세의 선출

베르나르트 판 오를레이가 그린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초상화(1519~1520)에서 볼 수 있듯이, 1519년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하면서 그의 손자인 카를 5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 영지와 부르고뉴 공국, 그리고 신성 로마 제국 왕위에 대한 권리를 상속받았다.[39]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한 투자를 확보하기 위해 야코프 푸거는 19세의 카를 5세를 지지했다.[39] 잉글랜드 왕 헨리 8세,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도 황제 후보로 나섰는데, 프랑수아 1세는 이미 트리어 대주교와 팔츠 선제후의 표를 확보하고 30만 굴덴의 선거 자금을 제공한 상태였다.[39]

선제후는 마인츠 대주교, 쾰른 선제후, 트리어 대주교, 보헤미아 왕, 팔츠 선제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작센 공작으로 구성되었다.[39] 어려운 상황 속에서 카를 5세는 야코프 푸거의 재력에 의존해야 했다. 푸거는 85만 굴덴이 넘는 막대한 금액을 선제후에게 제공하여, 1519년 제국 선거에서 카를 5세가 1519년 7월 28일 만장일치로 신성 로마 황제로 선출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39] 이 중 푸거는 약 55만 굴덴, 벨저 가문이 약 15만 굴덴, 이탈리아 은행가 세 명이 나머지를 제공했다. 이는 오늘날 뇌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당시 황제 선거에서는 흔한 관행이었다.[39]

1459년3월 6일 야코프 푸거는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 도시였던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사후 푸거는 로마 교회의 자금 운반 및 송금을 담당하며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을 능가하는 세력을 가지게 되었다.

며칠 후 교황은 카를에게 스스로 선출된 황제로 칭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 카를 5세는 1530년 볼로냐에서 교황에 의해 황제로 즉위한 마지막 황제였다.[40] 카를 5세는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통치하게 되었고, 야코프 푸거에게 큰 빚을 지게 되었다.[40] 1521년 부채는 60만 굴덴이 넘었고, 황제는 이 중 41만 5천 굴덴을 상환하는 대가로 푸거 회사에 티롤의 은 및 구리 채굴 사업을 양도했다.[34]

1523년 뉘른베르크 제국 의회에서 무역 자본 제한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을 때, 야코프 푸거는 황제에게 ''"폐하께서는 제 도움이 없었다면 로마 왕관을 얻지 못하셨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계십니다..."''라고 상기시켰다.[41] 그 결과 무역 제한 논의는 중단되었고, 푸거는 알마덴에서 수은과 진사 채굴 특허를 받았다.[42] 푸거 회사는 1645년까지 스페인 광산 사업에 참여했다.[42]

2. 9. 결혼, 유산 및 후계자

1498년, 40세의 야코프 푸거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저명한 대시민의 18세 딸인 시빌레 아르츠(또는 아르츠)와 결혼했다.[44] 이 결혼으로 야코프는 아우크스부르크의 대시민(독일어: Großbürger zu Augsburg)으로 승진했고, 시의회(독일어: Stadtrat) 의원직을 얻었다.[43] 결혼 4년 후, 야코프 푸거는 아내를 위해 부르고뉴 공국의 보물에서 4만 길더 상당의 보석을 구입했는데, 그중에는 쓰리 브라더스로 알려진 보석도 있었다. 푸거는 나중에 이 보석을 에드워드 6세에게 판매하여 영국 왕실 보석의 일부가 되었다.[43] 야코프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동등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했지만, 보석은 도난과 질투를 우려하여 집 지하실에 보관되었다. 부부에게는 자녀가 없었다.[44] 남편이 사망한 지 7주 후, 시빌 아르츠는 야코프의 사업 파트너와 재혼하여 개신교로 개종했다.[44]

''야코프 푸거와 시빌 아르츠의 초상화'', 1500년경


''야코프 푸거와 시빌 아르츠'', 아우크스부르크, 푸거 가문의 명예의 책, 작업장 요르크 브로이 데어 융거, 1545–1549


1525년 12월 30일 야코프 푸거가 사망했을 당시, 상속인에 의해 작성된 재산 목록에 따르면 자산은 총 3,000,058길더, 부채는 867,797길더로, 2,132,261길더의 흑자를 기록했다.[45] 그는 직계 후손이 없었기 때문에 회사와 자산은 그의 조카 라문트와 안톤 푸거에게 상속되었고, 그들이 회사를 이끌었다. 안톤은 1546년까지 가문의 재산을 다시 두 배로 늘렸다.[46]

3. 종교적 관점과 종교 개혁

야코프 푸거는 평생 로마 가톨릭교도였다.[47] 1513년 그는 브란덴부르크의 알브레히트에게 20,000길더를 대출하여 로마 교황청이 그를 마인츠 대주교로 추가 선출하는 것을 승인하도록 설득했다. 알브레히트는 교회법 위반, 나이 미달, 학력 부족 등의 이유로 교황청으로부터 높은 "수수료"를 부과받았다. 1514년 알브레히트는 교황 레오 10세에게 특별 면죄부[47]를 제안했고, 수입의 절반은 성 베드로 대성당 건설에, 나머지 절반은 야코프 푸거에 대한 상환에 사용하도록 했다. 이 면죄부는 1517년 알브레히트에게 위임되었고, 그는 요한 테첼을 고용하여 면죄부 설교를 하게 했다.[48][49] 마르틴 루터는 테첼의 행동에 항의하며 95개조 논제를 작성했고, 이는 종교 개혁으로 이어졌다.[50] 1518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 이후, 루터는 푸거 가문에서 자신의 논제에 대해 답변해야 했다.[51]

아우크스부르크 시민들이 복음주의 신앙의 자유를 요구하면서, 가톨릭교를 고수하고 신성 로마 황제에게 충성한 야코프 푸거와 대립하였다. 푸거는 합스부르크 가문 영토에서 광산을 운영했고 황제에게 빚이 있었기 때문에, 반종교 개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합스부르크 가문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푸거는 그의 푸게라이에서 가톨릭 신자들만 "보살핌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종교 개혁이 진행되면서 푸게라이는 개신교화되어 가는 아우크스부르크 도시에 위치하게 되었다.

야코프 푸거가 죽은 후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에서 필리프 멜란히톤에 의해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이 작성되었다. 아우구스탄 신앙 고백(Confessio Augustana)은 루터교 교회의 신앙 고백적이며 창립적인 문서이다. 야코프 푸거의 후손들은 오늘날까지 가톨릭 신자로 남아 있다.

4. 야코프 푸거의 재단과 건축물



야코프는 당시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부를 쌓았지만, 그는 그 자금을 자선 활동에도 사용했다. 현재도 아우크스부르크에 존재하며 푸거 가문이 관리하는 "푸거라이"는 야코프 푸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창설 당시의 집세는 저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현재도 거주자가 있다.

또한 문화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안나 교회 푸거 예배당 ===

2007년 아우크스부르크 안나 교회의 푸거 예배당


야코프 푸거는 형제 울리히와 함께, 사망한 형제 게오르크를 위해 아우크스부르크에 위치한 카르멜회 수도원의 성 안나 교회에 푸거 예배당을 설립했다.[52] 이곳은 세 형제와 두 조카인 라이문트 푸거와 히에로니무스 푸거(1499–1538)의 묘소가 되었다.

1509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512년에 완공된 이 예배당은 베네치아로마의 영향을 받아 이탈리아 묘당을 모델로 삼았으며, 독일 최초의 르네상스 건축물이 되었다.[52] 알브레히트 뒤러, 한스 부르크마이어, 외르크 브로이 더 에더, 한스 다우처 등 당대 유명 독일 예술가들이 내부 디자인에 참여했다.[52] 이 건물은 푸거 가문이 귀족으로 승격하고 지역 귀족들과 거리를 두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이탈리아 "메모리아" 건축 양식으로 푸거 가문의 이름과 기억을 보존하는 매개체였다.[52]

1518년 이 예배당은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복음사가 마태오의 수호성인에게 봉헌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봉헌된 가톨릭 예배 장소로 남아 있다.[53] 안나베르크-부흐홀츠의 성 안나 교회가 1548년 개신교로 전환되었을 때, 푸거 재단이 계속 관리하고 교회의 유지를 도왔기 때문에 푸거 예배당은 가톨릭으로 남았다.[53] 이러한 이유로 현재 개신교 교회에 푸거 가문의 묘소가 있는 특이한 상황이 되었다.[53]

=== 아우크스부르크 푸거하우저 ===

푸거하우저의 다멘호프(여인들의 안뜰) in 아우크스부르크


푸거 가문은 야코프 푸거가 1512년부터 1515년까지 포도주 시장 근처(현재 막시밀리안 거리)에 푸거하우저를 건설하기 전에 이미 아우크스부르크의 주요 위치에 두 채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54] 건축가는 아마도 한스 히에베였을 것이다.[54] 푸거하우저 내부의 다멘호프(여인들의 안뜰)는 피렌체 양식의 웅장한 안뜰을 본떠서 독일 최초의 세속적인 르네상스 건물로 자리 잡았다.[54] 이 단지는 1523년에 저명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한 번 더 확장되었다.[54] 푸거하우저는 야코프 푸거와 그의 아내 질빌레 푸거-아르츠의 사저이자 행정 중심지였다.[54]

이후 푸거 가문의 구성원들은 이 단지를 여러 번 확장했다.[54] 이 단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우크스부르크 공습으로 대부분 파괴되었으며, 1955년에 단순화된 방식으로 재건되었다.[54] 그러나 안뜰과 다른 여러 방들은 여전히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54] 이 건물들은 여전히 푸거 가문이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퓌르스트 푸거 사립은행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54]

=== 성 모리츠 교회 설교 재단 ===

1515년 야코프 푸거는 자신의 교구인 성 모리츠 교회에서 설교 개선을 옹호했다. 1517년 교황 레오 10세는 푸거와 그의 상속자들에게 교회의 후원권을 부여하고 사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 이 재단은 여전히 존재하며 푸거 가문은 여전히 사제를 추천하고 있다.

=== 푸게라이 ===

푸게라이 헤렌가세의 모습


1516년 야코프 푸거는 어려움에 처한 장인과 일용직 노동자를 위한 정착촌 건설에 자금을 지원했다. 1523년에는 이 단지 내 52채의 집이 지어졌다. 1531년에 처음으로 ''푸게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원래 이곳은 스스로 안정된 가정을 꾸릴 수 있을 때까지 본인의 잘못 없이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한 곳이었다. 연간 임대료는 상징적인 길더 1길더였지만, 푸거와 그의 가문을 위해 매일 세 번의 기도를 드려야 했다.

이 정착촌은 여러 차례 확장되었으며, 마지막 확장은 1973년에 이루어졌다. 오늘날 약 150명이 푸게라이에 거주하고 있으며, 여전히 연간 1길더(0.88유로)에 해당하는 임대료를 지불한다. 푸게라이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주요 관광 명소이며, 2006년부터는 박물관도 운영하고 있다. 이 정착촌은 여전히 푸거 가문의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으며, 재단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 기타 재단 및 건축물 ===

야코프 푸거는 아우크스부르크의 교회와 수도원에 여러 기부를 했으며, 그중 일부는 푸거 가문의 문장을 여전히 보여준다. 그는 스페인 알마그로의 산 블라스 교회와 로마의 산타 마리아 델 아니마 재건을 지원했다.[55] 그는 또한 오버키르히베르크에 예배당을 지었으며 바이센호른에 궁전을 건설했다.[18]

4. 1. 안나 교회 푸거 예배당



야코프 푸거는 형제 울리히와 함께, 사망한 형제 게오르크를 위해 아우크스부르크에 위치한 카르멜회 수도원의 성 안나 교회에 푸거 예배당을 설립했다.[52] 이곳은 세 형제와 두 조카인 라이문트 푸거와 히에로니무스 푸거(1499–1538)의 묘소가 되었다.

1509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512년에 완공된 이 예배당은 베네치아로마의 영향을 받아 이탈리아 묘당을 모델로 삼았으며, 독일 최초의 르네상스 건축물이 되었다.[52] 알브레히트 뒤러, 한스 부르크마이어, 외르크 브로이 더 에더, 한스 다우처 등 당대 유명 독일 예술가들이 내부 디자인에 참여했다.[52] 이 건물은 푸거 가문이 귀족으로 승격하고 지역 귀족들과 거리를 두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이탈리아 "메모리아" 건축 양식으로 푸거 가문의 이름과 기억을 보존하는 매개체였다.[52]

1518년 이 예배당은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복음사가 마태오의 수호성인에게 봉헌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봉헌된 가톨릭 예배 장소로 남아 있다.[53] 안나베르크-부흐홀츠의 성 안나 교회가 1548년 개신교로 전환되었을 때, 푸거 재단이 계속 관리하고 교회의 유지를 도왔기 때문에 푸거 예배당은 가톨릭으로 남았다.[53] 이러한 이유로 현재 개신교 교회에 푸거 가문의 묘소가 있는 특이한 상황이 되었다.[53]

야코프는 당대 유럽 최고 수준의 부를 축적했지만, 그 자금을 자선 활동에도 사용했다. 현재도 아우크스부르크에 존재하며 푸거 가문이 관리하는 "푸거라이"는 야코프 푸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당시 저렴한 집세를 유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2. 아우크스부르크 푸거하우저



푸거 가문은 야코프 푸거가 1512년부터 1515년까지 포도주 시장 근처(현재 막시밀리안 거리)에 푸거하우저를 건설하기 전에 이미 아우크스부르크의 주요 위치에 두 채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54] 건축가는 아마도 한스 히에베였을 것이다.[54] 푸거하우저 내부의 다멘호프(여인들의 안뜰)는 피렌체 양식의 웅장한 안뜰을 본떠서 독일 최초의 세속적인 르네상스 건물로 자리 잡았다.[54] 이 단지는 1523년에 저명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한 번 더 확장되었다.[54] 푸거하우저는 야코프 푸거와 그의 아내 질빌레 푸거-아르츠의 사저이자 행정 중심지였다.[54]

이후 푸거 가문의 구성원들은 이 단지를 여러 번 확장했다.[54] 이 단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우크스부르크 공습으로 대부분 파괴되었으며, 1955년에 단순화된 방식으로 재건되었다.[54] 그러나 안뜰과 다른 여러 방들은 여전히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54] 이 건물들은 여전히 푸거 가문이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퓌르스트 푸거 사립은행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54]

야코프는 당시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부를 쌓았지만, 그는 그 자금을 자선 활동에도 사용했다. 현재도 아우크스부르크에 존재하며, 푸거 가문이 관리하는 "푸거라이"는 야코프 푸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창설 당시의 집세는 저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현재도 거주자가 있다.

또한 문화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4. 3. 성 모리츠 교회 설교 재단

1515년 야코프 푸거는 자신의 교구인 성 모리츠 교회에서 설교 개선을 옹호했다. 1517년 교황 레오 10세는 푸거와 그의 상속자들에게 교회의 후원권을 부여하고 사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 이 재단은 여전히 존재하며 푸거 가문은 여전히 사제를 추천하고 있다.

야코프는 당시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부를 쌓았지만, 그 자금을 자선 활동에도 사용했다. 현재도 아우크스부르크에 존재하며, 푸거 가문이 관리하는 "푸거라이"는 야코프 푸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창설 당시의 집세는 저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현재도 거주자가 있다.

또한 문화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4. 4. 푸게라이

1516년 야코프 푸거는 어려움에 처한 장인과 일용직 노동자를 위한 정착촌 건설에 자금을 지원했다. 1523년에는 이 단지 내 52채의 집이 지어졌다. 1531년에 처음으로 ''푸게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원래 이곳은 스스로 안정된 가정을 꾸릴 수 있을 때까지 본인의 잘못 없이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한 곳이었다. 연간 임대료는 상징적인 길더 1길더였지만, 푸거와 그의 가문을 위해 매일 세 번의 기도를 드려야 했다.

이 정착촌은 여러 차례 확장되었으며, 마지막 확장은 1973년에 이루어졌다. 오늘날 약 150명이 푸게라이에 거주하고 있으며, 여전히 연간 1길더(0.88유로)에 해당하는 임대료를 지불한다. 푸게라이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주요 관광 명소이며, 2006년부터는 박물관도 운영하고 있다. 이 정착촌은 여전히 푸거 가문의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으며, 재단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야코프 푸거는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부를 쌓았지만, 그 자금을 자선 활동에도 사용했다.

4. 5. 기타 재단 및 건축물

야코프 푸거는 아우크스부르크의 교회와 수도원에 여러 기부를 했으며, 그중 일부는 푸거 가문의 문장을 여전히 보여준다. 그는 스페인 알마그로의 산 블라스 교회와 로마의 산타 마리아 델 아니마 재건을 지원했다.[55] 그는 또한 오버키르히베르크에 예배당을 지었으며 바이센호른에 궁전을 건설했다.[18]

야코프는 푸거라이를 건립하여, 당시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부를 자선 활동에 사용했다. 푸거라이는 현재도 아우크스부르크에 존재하며 푸거 가문이 관리하고 있으며, 창설 당시의 집세는 저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도 푸거라이에는 거주자가 있다. 그는 또한 문화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5. 인물

야코프 푸거는 유럽에서 손꼽히는 부를 쌓았지만, 그 자금을 자선 활동에도 사용했다. 현재도 아우크스부르크에 존재하며 푸거 가문이 관리하는 푸거라이는 야코프 푸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창설 당시의 집세는 저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는 현재도 거주자가 있다.

또한 문화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6. 평가

7. 참고 문헌


  • 브루노 부쉬아트, ''아우크스부르크의 성 안나 교회 부근 푸거 예배당'', 뮌헨 1994, .
  • 리하르트 에렌베르크, ''푸거 시대, 16세기의 자본과 신용 거래'' (2권), 예나 1896.
  • 페터 게프켄, ''야코프 푸거의 초기 시절''. in: 마르틴 클루거(아우크스부르크), ''야코프 푸거(1459–1525). 사진으로 보는 그의 삶'', context medien und verlag, 아우크스부르크 2009, .
  • 페터 게프켄, ''부유한 야코프 푸거 (1459–1525): "왕 제작자", 전략가이자 조직가"''. in: [http://www.damals.de/de/16/07-2004.html?issue=158357&cp=1 당시 7/2004].
  • 페터 게프켄, ''푸거 – 한 가문의 역사: "삼지창을 가진 상인"''. in: [http://www.damals.de/de/16/07-2004.html?issue=158357&cp=1 당시 7/2004].
  • 마르크 헤버라인, ''푸거 가문. 아우크스부르크 가문의 역사 (1367–1650)'', 콜함머 출판사, 슈투트가르트 2006, .
  • 사라 하드리, ''키르히베르크와 바이센호른의 푸거 가문. 지배 구조와 농노제, 종교 개혁과 거주지 형성'', 비스너, 아우크스부르크 2007, .
  • 막스 얀센, ''푸거 가문의 시작'', 라이프치히 1907, .
  • 페터 칼루스, ''슬로바키아의 푸거 가문'', 아우크스부르크 1999, .
  • 프란츠 카르크, ''어떤 도시 영주의 초상. 부유한 야코프, 바이센호른의 첫 번째 푸거'', in: 바이센호른의 프로필 1160–2010. 도시 역사에 대한 기여 및 연구 (바이센호른 지역 박물관의 카탈로그 및 저술 5), 바이센호른 2010.
  • 헤르만 켈렌벤츠, ''1560년까지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푸거 가문. 16세기의 대기업'' (2권), 뮌헨 1990, .
  • 노르베르트 리브, ''푸거 가문과 예술. 1권: 후기 고딕 시대와 초기 르네상스 시대'', 뮌헨 1952.
  • 괴츠 폰 푈니츠, ''야코프 푸거'', in: NDB, Neue Deutsche Biographie, 5. Bd. (1961), S. 710–716.
  • 괴츠 폰 푈니츠, ''푸거 가문''. Mohr & Siebeck, 6. 개정판 튀빙겐 1999, .
  • 괴츠 폰 푈니츠, ''야코프 푸거''. Mohr & Siebeck, 튀빙겐 1949. 미리보기: [https://books.google.com/books?id=9xLfyZ7qB4EC 야코프 푸거, 자료와 설명].
  • 벤자민 쉘러, ''시대의 전환기에 대한 기억. 종교 개혁 이전과 기간 동안 부유한 야코프 푸거의 재단 (ca. 1505–1555)'', 베를린 2004, .
  • 알로이스 슐테, ''로마의 푸거 가문 1495–1523'' (2권), 라이프치히 1904, .
  • 마리온 티에츠-스트뢰델, ''아우크스부르크의 푸게라이'', 튀빙겐 1982, .
  • 아이케 에버하르트 운거, ''할 i. T.의 푸거 가문'', 튀빙겐 1967, ASIN B0000BTV29.
  • 야콥 슈트리더, ''부유한 야콥 푸거'', 워싱턴 1931, .
  • 바르바라 귄터, ''시빌레 푸거, 부유한 야코프의 아내.'', 1985,
  • 프란츠 헤레, ''그 시대의 푸거 가문.'' 비스너-출판사, 제12판, 아우크스부르크 2005, .
  • 탄야 킨켈, ''인형극 배우''. 뮌헨 1993.
  • 마틴 클루거, ''아우크스부르크의 푸거 가문. 상인, 기증자, 후원자'', context verlag, 아우크스부르크 2010, .
  • 마틴 클루거, ''푸거 가문: 아우크스부르크 안팎의 독일 메디치 가문'', context verlag, 아우크스부르크 2009, .
  • 마틴 클루거, ''"야코프 푸거 (1459–1525). 그림으로 보는 그의 생애"'', context medien und verlag, 아우크스부르크 2009, .
  • 마틴 클루거, ''푸게라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회 주택 단지 안내'', context-verlag, 아우크스부르크 2009, .
  • 마틴 클루거, ''푸거 가문 – 이탈리아. 사업, 결혼, 지식, 예술. 풍요로운 관계의 역사'', context medien und verlag, 아우크스부르크 2010, .
  • 마틴 클루거, ''아우크스부르크의 푸거 가문. 상인, 광산 기업가, 은행가, 기부자''. context verlag Augsburg, 아우크스부르크 2014, .
  • 귄터 오거, ''황제를 사세요. 푸거 가문의 이야기.'' 드뢰머 크나우어, 제17판, 뮌헨 1995, .
  • 그렉 스타인메츠, ''역사상 가장 부유했던 사람: 야코프 푸거의 삶과 시대'' (뉴욕, NY: 사이먼 & 슈스터, 2015).
  • 페터 뎀프, ''푸거가의 부적'' BLT, 베르기쉬글라드바흐 2006, .
  • 레베카 아베, ''푸거가의 미로'' Gmeiner 2011, .
  • 패트릭 오브라이언, ''열세 개의 포격'' 콜린스(영국) 1989, .
  • 닐 스티븐슨, 니콜 갤런드, ''D.O.D.O.의 흥망성쇠'' 윌리엄 모로우 2017, .

8. 가계도

wikitable

푸거 가문 가계도
푸거 가문의 가계도는 이미지 파일 등으로 첨부되어 있다.


9.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Opinion: 7 money-making lessons from the richest man who ever lived https://www.marketwa[...] 2021-05-21
[2] 서적 The Richest Man Who Ever Lived: The Life and Times of Jacob Fugger Simon & Schuster 2015
[3] 간행물 Fugger – Geschichte einer Familie: "Die Handelsherren mit dem Dreizack" DAMALS 2004-07
[4] 백과사전 Anton Fugger http://www.britannic[...]
[5] 뉴스 Jakob Fugger http://interactive.w[...]
[6] 문서 2006
[7] 문서 1999
[8] 문서 2006
[9] 문서 2006
[10] 문서 2009
[11] 문서 2009
[12] 문서 1931
[13] 웹사이트 Mineral and political wealth of Banská Bystrica mining region has flown https://spectator.sm[...] 2002-07-08
[14] 서적 Die Fugger in Hall i.T. Tübingen 1967
[15] 문서 1999
[16] 웹사이트 Luminarium Encyclopedia: Maximilian I, Holy Roman Emperor. http://www.luminariu[...]
[17] 서적 Die Fugger in Kirchberg und Weißenhorn. Herrschaftsverfassung und Leibeigenschaft, Konfessionalisierung und Residenzbildung Augsburg 2007
[18] 문서 2006
[19] 문서 1999
[20] 서적 Die Fugger. Geschichte einer Augsburger Familie (1367–1650) Stuttgart 2006
[21] 문서 2006
[22] 문서 1999
[23] 웹사이트 Jahresberichte für Deutsche Geschichte http://pom.bbaw.de/e[...] 2012-02-28
[24] 간행물 Jakob Fugger der Reiche (1459–1525): "Königsmacher", Stratege und Organisator" DAMALS 2004-07
[25] 문서 1999
[26] 문서 2006
[27] 문서 1999
[28] 문서 2006
[29] 문서 2006
[30] 간행물 Fugger – Geschichte einer Familie: "Die Handelsherren mit dem Dreizack" DAMALS 2004-07
[31] 웹사이트 Jakob Fugger and the Reformation http://remus.shidler[...] 2019-10-19
[32] 문서 2006
[33] 웹사이트 Die erste deutsche Handelsfahrt nach Indien, 1505/06 : ein Unternehmen der Welser, Fugger und anderer Augsburger sowie Nürnberger Häuser http://archive.org/d[...] München : R. Oldenbourg 1922-04-10
[34] 문서 2006
[35] 서적 The Richest man who ever lived: the life and times of Jakob Fugger Simon and Schuster 2015
[36] 서적 1999
[37] 서적 2006
[38] 서적 Das Zeitalter der Fugger, Geldkapital und Creditverkehr im 16. Jahrhundert (2 Bde) Jena 1896
[39] 서적 1931
[40] 서적 The Reign of Charles V St. Martin's Press 2002
[41] 서적 Die Fugger in ihrer Zeit Augsburg 2000
[42] 서적 1999
[43] 간행물 Three Royal Jewels: The Three Brothers, the Mirror of Great Britain and the Feather http://www.jstor.org[...] 1966
[44] 서적 Sybille Fugger, die Frau Jakobs des Reichen. 1985
[45] 서적 Das Zeitalter der Fugger, Geldkapital und Creditverkehr im 16. Jahrhundert (2 Bde) Jena 1896
[46] 서적 2006
[47] 서적 What is an indulgence commissioner?
[48] 웹사이트 Luther's nuisance: indulgence for the new building of St. Peter's http://www.hab.de/au[...]
[49] 서적 Here I Stand: A Life of Martin Luther https://archive.org/[...] Abingdon Press, Nashville 1950
[50] 웹사이트 Albert of Brandenburg https://www.newadven[...]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2020-05-16
[51] 서적 Neuere Kirchengeschichte https://books.google[...]
[52] 서적 Memoria an der Zeitenwende. Die Stiftungen Jakob Fuggers des Reichen vor und während der Reformation (ca. 1505–1555) Berlin 2004
[53] 웹사이트 500 Jahre Fuggerkapelle https://www.augsburg[...]
[54] 서적 2006
[55] 서적 Die Fugger und die Kunst. Band 1: Im Zeitalter der Spätgotik und der frühen Renaissance München 1952
[56] 웹사이트 http://cesareborg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